본문 바로가기
주식편

주식 하락장(Bear Market) 개념 및 기간에 대해서 알아보자

by 경제공부개발자 2025. 3. 13.
반응형

1. 하락장의 개념

주식 시장에서 "하락장(Bear Market)"이란 주가지수가 고점 대비 20% 이상 하락한 상태가 일정 기간 지속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 이와 반대로 상승장을 강세장(Bull Market)이라고 합니다.

2. 하락장의 특징

  • 장기적인 하락 추세: 단기적인 조정(5~10% 하락)이 아니라 수개월~수년간 하락하는 경우가 많음.
  • 거래량 감소: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거래량이 줄어듦.
  • 공포 심리 확산: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 성향을 강화하면서 현금을 선호하는 경향.
  • 배당주·방어주 강세: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필수소비재, 배당주 등의 방어주가 상대적으로 덜 하락함.

3. 하락장의 원인

  • 경제 불황(Recession): 경기 침체, 기업 실적 악화
  • 금리 인상(Tightening): 중앙은행(예: Fed)의 금리 인상으로 투자 비용 증가
  • 유동성 축소: 유동성 공급 축소로 인해 시장에 돈이 부족해짐
  • 지정학적 리스크: 전쟁, 무역 분쟁, 팬데믹 등으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 증가

4. 하락장 지속 기간

  • 하락장의 지속 기간은 몇 개월~수년까지 다양함.
  • 평균적으로 1~2년 지속되며, 이후 반등(강세장)으로 전환됨.
  • 과거 미국 S&P 500 기준으로 하락장 평균 지속 기간:
    • 대공황 (1929~1932): 약 3년
    • 닷컴 버블 붕괴 (2000~2002): 약 2년 반
    • 금융위기 (2007~2009): 약 1년 6개월
    • 코로나 쇼크 (2020년): 약 1개월 (초단기 폭락 후 반등)

5. 하락장 대응 전략

  • 배당주 및 방어주 투자: 필수소비재, 헬스케어, 유틸리티 등 경기 방어적 섹터에 투자
  • 현금 비중 확대: 추가 하락에 대비하여 현금 보유
  • 장기 분할 매수(DCA): 유망한 주식을 저점에서 분할 매수
  • 심리적 대응: 공포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한 투자 전략 유지

지금 미국 증시는 금리 인하 기대와 경기 둔화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어 투자 전략을 세울 때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.

반응형